FC 네프치 코치코르아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C 네프치 코치코르아타는 키르기스스탄의 축구 클럽으로, 2010년 키르기스스탄 프리미어리그에서 우승했으며, 키르기스스탄 컵에서 2019년과 2021년에 우승했다. AFC 프레지던트컵과 AFC컵에 참가한 기록이 있으며, 2011년 AFC 프레지던트컵에서는 A조 1위를 기록했다. 현재 다스탄 알리베코프, 멜리스 타슈타노프, 미하일 파이우스 등이 선수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르기스스탄 프리미어리그 구단 - FC 알라이
FC 알라이는 키르기스스탄의 축구 클럽으로, 1960년 창단 후 디나모 오시와 합병 및 재창단을 거쳐 키르기스스탄 프리미어리그 4회 우승, 키르기스스탄 컵 2회 우승, 키르기스스탄 슈퍼컵 3회 우승을 기록하며 AFC 컵에도 참가하는 팀이다. - 키르기스스탄 프리미어리그 구단 - FC 도르도이 비슈케크
FC 도르도이 비슈케크는 1997년 창단하여 키르기스스탄 리그에서 13회 우승, 컵 대회에서 10회 우승, 슈퍼컵에서 6회 우승을 기록하고 AFC 프레지던트컵에서 2회 우승한 키르기스스탄의 프로 축구 클럽이다. - 키르기스스탄 축구에 관한 - 키르기스스탄 프리미어리그
키르기스스탄 프리미어리그는 1992년 키르기스스탄 독립 이후 시작된 키르기스스탄의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현재 10개의 클럽이 참가하며 FC 도르도이 비슈케크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키르기스스탄 축구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키르기스스탄 축구에 관한 - FC 알라이
FC 알라이는 키르기스스탄의 축구 클럽으로, 1960년 창단 후 디나모 오시와 합병 및 재창단을 거쳐 키르기스스탄 프리미어리그 4회 우승, 키르기스스탄 컵 2회 우승, 키르기스스탄 슈퍼컵 3회 우승을 기록하며 AFC 컵에도 참가하는 팀이다. - 1952년 설립된 축구단 - 알아라비 SC (카타르)
알아라비 SC는 1952년 창단되어 카타르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축구 클럽으로, 1990년대 리그 5회 우승과 AFC 챔피언스리그 준우승을 포함하여 국내 여러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알사드 SC, 알 라이얀 SC와 라이벌 관계를 가지고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 1952년 설립된 축구단 - 레알 마드리드 C
레알 마드리드 C는 레알 마드리드 CF의 3군 팀으로 스페인 축구 리그 시스템에서 활동하며, 아마추어 시절 캄페오나토 데 에스파냐 데 아피시오나도스에서 여러 차례 우승했고 테르세라 디비시온에서도 5회 우승했으나 2014-15 시즌 후 해체되었다가 2022년 RSC 인터나시오날 FC를 인수하여 2023-24 시즌부터 재창단되었다.
FC 네프치 코치코르아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클럽 명칭 | 네프치 코치코르아타 |
전체 명칭 | 네프치 코치코르아타 축구 클럽 |
별칭 | (정보 없음) |
창단 | 1960년 |
홈 구장 | 잘랄아바드 쿠르만베크 스타디온 |
수용 인원 | 4,500명 |
회장 | (정보 없음) |
감독 | 발레리 베레조프스키 |
리그 정보 | |
리그 | 키르기스 프리미어 리그 |
시즌 | 2024년 |
리그 순위 | 5위 (10개 팀 중)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색상 | 상의: 빨간색, 하의: 빨간색, 양말: 빨간색 |
원정 유니폼 색상 | 상의: 밝은 아이보리색, 하의: 밝은 아이보리색, 양말: 밝은 아이보리색 |
2. 역사
FC 네프치 코치코르아타는 1952년에 설립되었다. 2010년 키르기스 리그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으며,[2] 이듬해 AFC 프레지던츠컵에 출전하여 결승에 진출했으나 프놈펜 크라운에 패했다.[2]
2. 1. 국내 대회
시즌 | 디비전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키르기스스탄 컵 | 득점왕 | 리그 득점 |
---|---|---|---|---|---|---|---|---|---|---|---|---|
1994 | 1위 | 11 | 26 | 3 | 5 | 18 | 23 | 84 | 11 | |||
1995 | 1위 | 6 | 14 | 4 | 3 | 7 | 12 | 23 | 15 | |||
1996 | 1위 | 10 | 22 | 6 | 3 | 13 | 22 | 40 | 21 | |||
1997 | 1위 | 9 | 18 | 2 | 4 | 12 | 13 | 57 | 10 | |||
1998 | 1위 | 12 | 22 | 3 | 3 | 16 | 21 | 61 | 12 | |||
2003 | 1위 | 5 | 12 | 3 | 1 | 8 | 13 | 41 | 10 | |||
2004 | 1위 | 8 | 36 | 9 | 2 | 25 | 30 | 87 | 29 | |||
2007 | 1위 | 6 | 32 | 12 | 6 | 14 | 36 | 30 | 42 | |||
2010 | 1위 | 1 | 20 | 12 | 7 | 1 | 36 | 14 | 43 | 준우승 | ||
2011 | 1위 | 2 | 20 | 12 | 5 | 3 | 32 | 14 | 41 | 준우승 | 루슬란 잠시도프 | 7 |
2013 | 1위 | 6 | 20 | 9 | 3 | 8 | 29 | 24 | 30 | 8강 | ||
2014 | 1위 | 6 | 20 | 6 | 2 | 12 | 11 | 39 | 10 | |||
2018 | 1위 | 4 | 28 | 14 | 5 | 9 | 47 | 40 | 47 | 8강 | 오타베크 하이다로프 우미둘로 이미노프 | 9 |
2019 | 1위 | 4 | 28 | 14 | 4 | 10 | 43 | 31 | 46 | 우승 | ||
2020 | 1위 | 3 | 14 | 9 | 1 | 3 | 27 | 15 | 28 | 준결승 | 엘다르 몰도주누소프 | 6 |
2021 | 1위 | 6 | 28 | 9 | 4 | 15 | 37 | 44 | 31 | 우승 | 아므레딘 샤리피 | 12 |